TTL(Time To Live)이란?
DNS를 처음 접하면 TTL(Time To Live)이라는 용어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TTL은 쉽게 말해 DNS 레코드가 인터넷에서 캐시로 유지되는 시간(초 단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TTL이 1800이라면, 30분 동안 DNS 정보가 각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캐시에 저장된다는 뜻이죠. 이 시간이 지나면 DNS 정보가 갱신됩니다.
가비아에서 TTL 1800(30분)을 권장하는 이유
가비아를 포함한 많은 DNS 서비스에서는 TTL 기본값을 1800초(30분)로 권장하거나 설정해두는 경우가 많아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변경 반영 속도와 안정성의 균형
TTL이 너무 길면(예: 하루=86400초) DNS 정보 변경 시 반영이 늦어져요. 반대로 너무 짧으면(예: 60초) 서버에 대한 요청이 너무 많아져 트래픽이 증가하고, 네임서버 부하가 커집니다. 1800초는 변경 반영 속도와 네트워크 안정성, 서버 부하 사이의 균형을 잡아주는 적절한 값이에요. - 트래픽 부하 감소
30분 동안 DNS 정보를 캐시해두면, 같은 정보에 대한 반복 조회를 줄여 네임서버의 트래픽 부담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 변경 시 부담 완화
도메인 IP나 레코드 등 주요 설정을 바꿔야 할 때, TTL이 1800초면 30분 이내에 변경 내용이 전파됩니다. 너무 빠르지도, 너무 느리지도 않게 안정적으로 반영되는 셈이죠. - 가비아의 기본 권장값
가비아 공식 매뉴얼이나 실무 사례에서도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TTL 1800초를 기본값으로 삼는 경우가 많아요. 운영 안정성과 효율성 모두를 고려한 기준치입니다.
TTL 1800의 실전 적용 예시
가비아 DNS 관리툴에서 A, CNAME, MX 등 다양한 레코드를 추가할 때 TTL 값을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1800초(30분)로 두는 것이 무난해요. 예를 들어, 블로그 도메인 연결이나 이메일 설정 등 일상적인 DNS 레코드 관리에서 TTL 1800은 빠른 변경 반영과 서버 부하 감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TTL 값, 상황에 따라 조절하는 꿀팁
- 서비스 이전/마이그레이션 전
도메인 IP나 레코드를 곧 변경할 계획이라면, 미리 TTL을 300(5분) 등으로 줄여두세요. 변경 시 빠르게 반영되어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 안정적 운영 중
도메인 정보가 자주 바뀌지 않는다면, TTL을 3600(1시간) 또는 86400(하루) 등으로 늘려도 됩니다. 네임 서버 트래픽과 비용을 더 줄일 수 있죠. - 변경 후
변경이 완료되고 안정화 되면 다시 1800~3600초 등으로 TTL을 올려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세요.
TTL 1800, 이런 점도 기억하세요!
- TTL이 짧으면(예: 300초) 변경 반영은 빠르지만 서버 부하가 증가할 수 있어요.
- TTL이 길면(예: 86400초) 서버 부하는 줄지만, 변경 반영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 가비아와 같은 DNS 서비스는 운영 안정성과 효율성, 그리고 사용자 편의를 고려해 1800초를 기본 값으로 권장합니다.
- DNS 레코드 변경 후에는 실제 반영까지 최대 30분~2시간 정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어요.⏳
마무리
처음엔 TTL이 뭔지, 왜 1800초로 설정하는지 헷갈릴 수 있지만, 알고 보면 운영의 안정성과 효율성, 그리고 빠른 변경 반영을 동시에 잡기 위한 똑똑한 선택이라고 하네요. 기본 설정으로 권장 하는 데는 이유가 있나봅니다! 블로그 하위 도메인 연결할때 TTL은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1800으로 설정하면 되겠습니다! 😎
구글 블로그 수익화 관련 글
- 구글 블로그 수익화 [1편] Blogspot(Blogger) 개설 따라하기
- 구글 블로그 수익화 [2편] Blogspot SEO 최적화 초기 설정 따라하기 with 체크리스트
- 구글 블로그 수익화 [3편] 가비아 하위 도메인 연결 방법 따라하기
- 구글 블로그 수익화 [번외] 도메인, 2차 도메인, 하위 도메인 한 번에 이해하기
- 구글 블로그 수익화 [번외] 가비아 하위 도메인 연결, TTL은 왜 1800으로 설정할까?
- 구글 블로그 수익화 [4편] 구글 블로그 2개 이상 하위 도메인 연결 오류? 구글 서치 콘솔로 해결!
- 구글 블로그 수익화 [5편] 복붙으로 쉽게 끝내는 구글 블로그스팟 목차 자동 생성(TOC)
댓글
댓글 쓰기